- 고소 당한 성도들 ‘혐의없음’ 결론, 분쟁은 계속 진행 중
한남중앙교회 분쟁과 관련해 언론의 상반된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한 언론에서 사태의 쟁점인 △교회 정관 변경 문제 △교인 감소 이유 △목사의 성도 고소 등에 대해 보도하며 목회자 측의 주장에 무게를 두는 모습을 보이자 다른 언론이 반대 측 인사의 주장을 중점적으로 보도하며 반박하는 모습이다.
A언론은 정관 변경 문제와 관련해 “2018년 한남중앙교회는 연말 당회를 준비하며 담임목사가 당시 2면으로 되어 있는 교회의 정관을 개정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당시 분당중앙교회에서 정관 관련 세미나에 참석한 동료 목사를 통해 정관을 하나 소개받고 그 정관을 모델로 하여 당회원들에게 복사해 주고 당회원들이 검토한 후에 필요하다면 정관을 개정하려고 했다”며 “그러나 당회에서 개정하지 않기로 해서 그냥 넘어간 일이 있었다. 당회에 안건으로 상정도 되지 않았기에 폐기라고 말할 수조차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엉뚱한 곳에서 이것이 문제가 되어 교계 기자들에게 제공되어지고, 담임목사가 부당한 방법으로 정관 변경을 통해 교회 재산권을 획득하려 하는 것처럼 주장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했다.
하지만 B언론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B언론에 출연한 한남중앙교회 장로는 “교회 정관이 2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11면으로 되어 있다”고 밝혔다. 정관이 2장짜리 유명무실한 수준이 아니었기에 개정할 큰 이유가 없었다는 주장으로 보인다.
B언론에 출연한 또 다른 인사는 개정하려던 정관에 교회 명칭이 다른 이름으로 돼 있고 주소는 한남중앙교회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부분을 지적하며 “교인들의 입장에서는 (개정 정관대로라면) 한남중앙교회가 교회 재산권을 다른 교회 명의로 이양한 것이 되지 않겠냐 해서 문제 제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생각을 밝혔다.
또한 그는 “판결문에 ‘예배당 매각과 정관변경을 주도적으로 추진한 것은 사실’이라는 문구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기에 폐기됐다는 말과 차이가 있다. 폐기된 것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추진한 것이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논란이 일은 교인 수 감소 문제에 대해서도 시각차가 극명히 갈리고 있다. A언론에 따르면 최 목사는 “2005년 부임할 당시 장년 주일 출석이 350명이었고 심지어 500명이 넘는 중형교회였으나 현재는 50명 정도로 줄었으며 이처럼 교인 수가 준 것은 전적으로 담임목사의 책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2005년 당시 주일예배 출석이 350명이었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숫자다. 왜냐하면 당시 주일예배는 오전 11시에 한 번만 드렸는데 본당 중상층은 중고등부 교사실로 사용하고 있어서 예배실로 사용이 불가했으며 본당 예배실도 뒤쪽에 방송실이 자리 잡고 있어서 200석이 채 되지 않는 상황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B언론에 출연한 한남중앙교회 장로는 “본당만 해도 321명이 앉을 수 있고 성가대석에 50명 이상 앉을 수 있다. 중고등부가 앉을 수 있는 자리까지 더하면 충분히 500명 이상 앉을 수 있다”면서 “목사의 일방적인 교회 매각 의혹이 나오면서 갈등이 생겼고 교인들이 떠나게 됐다”고 반박했다. B언론도 교회 내부 사진을 제시하며 이 주장에 힘을 싣는 모습을 보였다.
목사가 교인들을 고소한 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이 맞서고 있다. A언론에 목사가 밝힌 입장을 보면, 목사의 명예를 심각하게 실추시키는 일이 발생했고 사회법에 고소하지 않을 경우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을 인정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에 처하게 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소하게 됐다고 한다.
고소와 관련해 B언론은 “한 성도는 자신이 실수한 일들에 대해 목사에게 사과와 용서를 구하고자 했지만 전화 차단을 당해 문자를 보내 용서를 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목사는 동부지검에 성도를 고소했고 조사 받는 과정에서 이 성도의 어머니가 소천하는 아픔도 겪었다”면서 “그동안 목사와 사모가 성도들을 대상으로 4건의 고소 고발을 했지만 모두 혐의없음 결정을 받았다. 성도들은 고소 고발 사건으로 트라우마가 생기고 결국 교회를 떠나는 일이 발생하게 됐다고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한남중앙교회 사건은 목사와 성도는 물론 언론도 사태를 바라보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보면 향후 또 다른 고소 사건도 발생할 수 있어 우려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한남중앙교회가 속해 있는 예장합동 중서울노회가 상황을 공정하고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